심한 충치로 깨진 치아 신경치료하기 2025-06-24 hit.28 |
|
안녕하세요. 따뜻한 치료, 바른 진료를 진행하는 의정부 송산동 연세 스탠다드 치과입니다. 오늘은 오른쪽 위 어금니가 충치로 인해 깨지고, 그로 인해 통증이 동반되어 내원하신 20대 남성분의 케이스를 소개 드리고 자 합니다.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3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환자분의 경우 오른쪽 위 큰 어금니들에 충치가 관찰되었으며, 충치의 정도가 심해 치아 파절까지 이어진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충치의 깊이가 신경까지 진행되었기 때문에 신경치료가 필요하였고, 신경치료 이후 치아를 보호하기 위해 레진 코어로 수복 후 지르코니아 크라운 수복 계획하였습니다. 1. 심한 충치(치수염) 충치가 치아의 단단한 겉면을 뚫고 신경까지 침범 시 신경에 염증 발생 2. 치아 외상(부딪힘, 넘어짐 등) 외부 충격으로 인해 신경이 끊기거나 손상 3. 치아 균열 또는 금이 간 경우 균열이 신경까지 도달하면 세균이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합니다. 육안으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 촬영 등으로 진단이 필요합니다. 4. 치수 괴사(신경이 죽음) 감염, 충격, 또는 혈액 공급 중단으로 인해 신경이 죽으면 세균이 증식해 감염이 심해집니다. 통증은 없을 수도 있지만, 염증이나 고름이 생길 수 있습니다. 5. 이전 신경치료 실패(재감염) 과거에 신경치료한 치아에 세균이 다시 들어가면 재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재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신경치료 과정> 1. 진단 및 마취 : 엑스레이로 신경 상태 및 감염 범위 확인. 치료할 부위에 국소 마취를 하여 통증 최소화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3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초진 x-ray 상에서도 큰어금니 사이에 충치가 심하게 진행된 것이 관찰됩니다 2. 치수강 개방 : 충치나 보철물을 제거하고, 신경이 있는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 치아 윗부분을 뚫음 3. 치수 제거 : 감염되거나 죽은 신경 조직을 근관 파일이라는 특수 도구로 제거, 내부에 남아 있는 감염 조직도 함께 제거. 4. 근관장 측정 및 근관 찾기 : 근관장 측청기를 사용하고, 파일을 넣은 상태로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근관 길이와 개수를 확인.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3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신경치료를 하는 중간에는 뿌리의 길이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 x-ray 촬영을 합니다. 이번 케이스에서도 화살표로 표시된 부위에 추가적인 신경관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미세현미경을 통해 해당 부위를 정밀하게 관찰한 후, 숨겨진 신경관까지 찾아내어 청결하게 세척·소독할 수 있었습니다. 5. 근관세척 및 소독 : 신경관 내부를 살균 세척제(예:염소산나트륨 Naocl)로 깨끗이 세척하고 건조, 세균이 남지 않도록 주의 깊게 소독 6. 근관충전 : 깨끗해진 신경관에 고무 같은 재료(Gutta-percha)를 채워서 외부 세균 침입을 차단, 치료 후 엑스레이로 밀봉 상태 확인.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4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두 번째 사진은 신경치료 마무리 직전 GP cone이라는 신경치료 재료를 넣고 찍은 x-ray입니다. 첫 번째 치료 사진에서 안 보였던 신경관이 치료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관치료 완료 후>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4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신경치료 마무리 후 레진 재료로 단단하게 보강을 한 사진입니다. 충치가 깊을수록 레진 재료로 보강할 때 미세한 틈 없이 꼼꼼히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보철을 씌운 탈 없이 오래 쓸 수 있습니다. <크라운 수복 과정> 신경치료 후 레진으로 보강 -> 치아삭제(다듬기) -> 인상채득(본뜨기) -> 임시 크라운 장착 -> 최종 크라운 제작 및 장착 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4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신경치료 이후 지르코니아 재료로 크라운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크라운에 보이는 동그란 모양의 볼 같은 것은 임시 접착했던 크라운을 쉽게 제거하기 위해 만들어놓은 것이며, 최종 접착 시에는 제거하게 됩니다.) 환자분의 경우 치아 사이 충치가 깊게 진행됐었기 때문에, 크라운을 임시 접착하여, 잇몸이 잘 적응하는지, 음식물이 많이 끼지 않는지를 체크하였습니다. 환자의 동의를 얻어 2025년 5월 촬영한 사진으로 의료법 제23조, 제56조에 의거하여 게재합니다. 1-2주간의 임시 접착 후 환자분이 큰 불편감이 없다고 하셔서 최종 접착을 시행하였습니다. 최종 접착 후에도 환자분께 치실, 치간칫솔로 꼼꼼히 관리해 주실 것을 당부드렸습니다.
신경치료는 충치나 파절로 인해 손상된 치아를 최대한 보존하여 수복 하기 위해 아주 중요한 치료 단계입니다. 미세현미경을 통해 쉽게 찾지 못하는 신경관까지 모두 깨끗하게 치료를 해주어야 크라운을 씌운 이후에도 오래오래 건강하게 쓸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라는 단어만 들어도 걱정부터 앞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저희 의정부 송산동 연세스탠다드치과에서는 무통마취 시스템을 적용하여 통증을 최소화하고, 치료 중에도 불편함 없이 마무리하실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진료하고 있습니다. -------------------------------------------------------- 치료 시작일 : 2025년 3월 12일 치료 종료일 : 2025년 5월 13일 -------------------------------------------------------- 발생 가능한 부작용 치료 직후 또는 며칠간 씹을 때 통증이나 잔통이 있을 수 있고, 신경이 제거된 치아는 수분이 없고 약해지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해져 파절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근관 내부가 완전히 소독되지 않았거나, 충전이 불완전할 경우 세균이 다시 증식하여 감염이 재발하여 발치를 해야 되는 상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신경치료 후에는 반드시 크라운 수복을 해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이 필수입니다. -------------------------------------------------------- 의료법상 고지 의무사항 연세스탠다드치과의 모든 게시물은 환자분들께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의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표원장이 직접 작성하고 있습니다 본 게시물은 의료 정보 제공 및 광고를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연세스탠다드치과에서 실제 치료한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또한, 환자분의 동의를 받아 의료법 제56조 및 의료법 시행령 제23조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게시물에 사용된 모든 사진은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의 동일 부위를 동일한 조건에서 촬영한 원본 이미지로, 후보정이나 편집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습니다. 치료 결과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본 사례의 결과는 해당 케이스에 한정되어 적용됩니다. 모든 치과 치료는 개인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